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집행유예 뜻, 집행유예란
    정보

    집행유예 뜻에 대해 궁금하셨군요. 집행유예란 법원에서 유죄 판결로 형을 선고하지만, 그 형의 집행을 일정 기간 미뤄주는 제도입니다.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형을 선고할 경우,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즉시 교도소에 보내지 않고 사회에서 생활할 기회를 주는 것이죠. 물론, 유예 기간 동안 아무 문제 없이 지내야 합니다.

     

    집행유예 뜻, 집행유예란?

     

    집행유예 뜻은 쉽게 말해 '조건부 석방'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법원이 피고인의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형의 집행을 잠시 미뤄주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면, 당장 교도소에 가지 않고 2년 동안 사회에서 지낼 수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법을 잘 지키고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징역 1년의 선고는 효력을 잃게 됩니다. 즉, 교도소에 가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이는 피고인에게 다시 한번 사회 구성원으로 성실하게 살아갈 기회를 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법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하는 모습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집행유예를 받을 수 있을까요? 법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형을 선고할 경우에만 집행유예를 내릴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전과가 없어야 하는 등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법원은 범행의 동기, 피고인의 나이와 성품, 지능과 환경,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 후의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피고인이 진심으로 반성하고 있고,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했다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집행유예 선고의 법적 기준을 설명하는 문서

     

    집행유예는 완전히 자유로운 몸이 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법원은 집행유예를 선고하면서 보호관찰이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명령을 함께 부과할 수 있습니다. 보호관찰은 보호관찰관의 지도와 감독을 받으며 생활하는 것을 말하며, 정기적으로 자신의 생활을 보고해야 합니다.

     

    사회봉사 명령은 지정된 기관에서 일정 시간 동안 무보수로 근로를 제공하는 것이고, 수강명령은 준법 운전이나 알코올 치료 등 특정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명령을 성실히 이행해야만 집행유예 기간을 무사히 마칠 수 있습니다.

    집행유예 기간 중 사회봉사를 하는 모습

     

    가장 중요한 점은 집행유예 기간 동안 절대로 다시 범죄를 저지르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집행유예 기간 중에 고의로 죄를 지어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판결이 확정되면, 기존에 유예되었던 형까지 더해져 처벌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받은 사람이 유예 기간 1년째에 또 다른 범죄로 징역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으면, 이전에 유예되었던 1년과 새로운 6개월을 합쳐 총 1년 6개월의 징역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이를 '집행유예의 실효'라고 부릅니다.

    집행유예 실효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이미지

     

    집행유예와 자주 혼동되는 개념으로 '선고유예'가 있습니다. 선고유예는 아예 형의 선고 자체를 미루는 제도입니다. 즉, 유죄는 인정되지만 판사가 형을 얼마로 할지 정하지 않고 2년 동안 지켜보는 것이죠. 2년 동안 무사히 지내면 면소된 것으로 간주되어 전과 기록이 남지 않습니다.

     

    반면, 집행유예는 형을 먼저 선고하고 그 집행만 미루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죄 판결이 확정된 것이므로 전과 기록에는 남게 됩니다. 이것이 두 제도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집행유예와 선고유예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도표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