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받을 주택연금 수령 금액이 얼마인지 궁금하신가요? 주택연금은 보유한 주택의 가격과 부부 중 나이가 더 적은 분의 연령을 기준으로 매달 받을 돈이 정해집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예상 수령액을 미리 알아볼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 금액

 

정확한 주택연금 수령 금액을 확인하려면 먼저 한국주택금융공사 공식 채널에 접속해야 합니다. 이곳에서는 주택연금뿐만 아니라 보금자리론, 전세보증 등 다양한 주택 관련 금융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유용합니다.

 

화면 상단에는 여러 메뉴가 보이는데, 우리가 필요한 정보는 '주택연금' 항목에 모두 담겨 있습니다. 다른 메뉴들도 함께 둘러보시면 노후 준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공식 채널 메인 화면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주택연금'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여러 하위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예상연금조회'를 찾아 누르면, 나의 예상 수령액을 직접 계산해볼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예상 금액을 조회하기 전에 '주택연금이란' 메뉴를 먼저 읽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연금의 기본 개념과 장단점을 미리 파악하면 제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주택연금 메뉴에서 예상연금조회 선택

 

예상연금조회 화면으로 이동하면, 직접 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월지급금 예시'를 통해 대략적인 금액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령과 주택 가격에 따른 평균적인 예시 금액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 표를 통해 나의 상황과 비슷한 조건의 사람들이 대략 어느 정도의 연금을 받는지 가늠해볼 수 있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전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월지급금 예시 표 확인하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일반 주택의 예시입니다. 표에 따르면, 부부 중 나이가 적은 분이 70세이고 3억 원 가격의 주택을 소유했다면, 종신지급방식(정액형)을 기준으로 매월 약 88만 6천 원을 받게 됩니다.

 

물론 이 금액은 가입 시점의 금리나 주택 가격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예시 금액이므로, 정확한 액수는 반드시 개인별 조회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주택 주택연금 월지급금 예시표

 

만약 소유한 주택이 지자체에 신고된 노인복지주택이라면 월지급금이 조금 달라집니다. 동일하게 70세, 3억 원 주택 기준일 때 매월 약 77만 2천 원을 수령하게 되어 일반 주택보다 약간 적습니다.

 

노인복지주택은 주택의 특성과 관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연금 산정 기준에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주택 유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인복지주택 주택연금 월지급금 예시표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 또한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같은 조건(70세, 3억 원)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은 매월 약 73만 6천 원을 받게 됩니다.

 

주택의 종류에 따라 월 수령액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여 조회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주거목적 오피스텔 주택연금 월지급금 예시표

 

이제 직접 나의 정보를 입력하여 예상 연금을 조회할 차례입니다. 주택 소유자와 배우자의 생년월일, 주택의 종류, 그리고 주택 가격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주택 가격은 시세 조회를 통해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보통 한국부동산원 시세, KB 시세, 공시가격 순으로 적용됩니다. 만약 신청인이 원할 경우 감정평가액을 우선 적용할 수 있지만, 이때 발생하는 평가 비용은 신청인이 직접 부담해야 합니다.

주택연금 예상연금조회를 위한 개인정보 입력 화면

 

마지막으로 지급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평생 동안 같은 금액을 받는 종신지급방식, 초기에 일정 금액을 목돈으로 받고 나머지를 연금으로 받는 혼합방식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각 방식마다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자신의 노후 계획과 재정 상황을 꼼꼼히 따져본 후 가장 유리한 방식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하기'를 누르면 최종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지급방식 및 지급유형 선택 화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