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한자 입력 방법, 생각보다 정말 간단해요. 따로 검색해서 복사할 필요 없이, 키보드에 있는 기능으로 바로 바꿀 수 있답니다. 먼저 한글을 입력한 뒤, 띄어쓰기 버튼 옆에 있는 특수기호(쉼표, 마침표 등) 버튼을 1초간 길게 누르면 숨겨진 한자 목록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원하는 한자를 골라주기만 하면 입력이 완료됩니다.
휴대폰 한자 입력 방법
가장 먼저, 휴대폰 한자 입력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변환하고 싶은 한글 단어를 입력해 주세요. 예시 화면에서는 '한글'이라는 두 글자를 입력해 보았습니다. 꼭 단어가 아니더라도 '가', '나'처럼 한 글자만 입력해도 한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단어를 입력한 뒤, 키보드 자판을 잘 살펴보세요. 띄어쓰기 버튼 바로 왼쪽에 있는 특수기호(,) 버튼이 보이실 거예요. 이 버튼을 손가락으로 1초 정도 길게 꾹 눌러주시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수기호 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화면처럼 작은 선택창이 나타납니다. 여러 가지 기호들 중에서 '漢'이라고 쓰인 한자 변환 버튼을 손가락을 떼지 않고 그대로 이동하여 선택해 주세요.
만약 이 위치에 한자 버튼이 보이지 않는다면, 키보드 설정에서 해당 버튼의 기능을 변경했을 수도 있어요. 대부분의 기본 설정(삼성 키보드, 천지인 등)에서는 이 위치에 한자 변환 기능이 배정되어 있답니다.

한자 버튼을 선택하는 순간, 키보드 위쪽으로 입력한 '한글'에 해당하는 여러 한자들이 목록으로 나타납니다. '한'에 해당하는 韓, 漢, 閑 등 여러 한자가 보이고, '글'에 해당하는 契, 契 등이 차례로 보입니다.
여기서는 '대한민국(韓)'을 의미하는 韓과 '글자(契)'를 의미하는 契을 순서대로 선택해 보겠습니다. 원하는 한자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톡 하고 눌러주시면 됩니다.

만약 처음에 보이는 목록에 내가 찾는 한자가 없다면, 목록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고 왼쪽으로 쓱 밀어보세요. 숨겨져 있던 다음 한자 목록이 나타납니다. 생각보다 많은 한자가 등록되어 있어서 웬만한 한자는 다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특히 동음이의어(소리는 같지만 뜻이 다른 한자)가 많은 한글의 특성상, 이처럼 좌우로 밀어서 정확한 뜻의 한자를 찾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천천히 살펴보시고 알맞은 한자를 선택해 주세요.

원하는 한자를 모두 선택했다면, 이렇게 입력창에 한글이 한자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이라고 입력했던 내용이 '韓契'으로 성공적으로 변환되었습니다. 정말 쉽고 빠르지 않나요?
이 기능은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 인터넷 검색창 등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곳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이제부터는 한자가 필요할 때 복잡하게 찾지 마시고 이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한자 입력이 끝난 후, 아까 길게 눌렀던 특수기호 버튼을 다시 한번 길게 꾹 눌러보세요. 그러면 한자(漢) 버튼 대신 원래 설정해 두었던 쉼표(,)나 마침표(.) 등으로 버튼 기능이 돌아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버튼을 다시 바꾸지 않아도 한글 입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한자 입력 모드가 계속 켜져 있으면 쉼표나 마침표를 입력할 때 불편할 수 있으니, 한자 사용이 끝나면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