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하게 예방접종 증명서가 필요할 때 동사무소 갈 필요 없이 정부24 홈페이지에서 바로 뗄 수 있더라고요. 따로 회원가입 안 해도 '비회원 신청'으로 가능한데, 본인 확인을 위한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는 꼭 있어야 돼요. 수수료도 무료라서 정말 편하죠.

 

예방접종 증명서 인터넷 발급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야 돼요. 포털에서 '정부24'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와요. 여기가 온갖 민원 서류를 다루는 공식 사이트거든요. 예방접종 증명서 인터넷 발급도 여기서 하는 게 정석이죠.

 

메인 화면에 보면 검색창이 크게 있는데, 다른 거 누르지 마시고 바로 검색창을 이용하는 게 제일 빨라요. 괜히 메뉴 찾다가 시간 보내는 분들 많더라고요.

 

검색창에 '예방접종증명서'라고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누르세요. 그럼 바로 아래 '민원서비스' 부분에 '예방접종증명'이라고 뜨는 게 보일 거예요. 이걸 클릭해서 들어가면 돼요.

 

비슷한 이름의 '정책정보'나 '뉴스'가 같이 검색될 수도 있는데, 헷갈리지 마시고 '민원서비스'라고 표시된 걸 누르셔야 신청 화면으로 바로 넘어가요.

 

'예방접종증명' 신청 페이지로 넘어오면 '발급하기' 버튼이 보여요. 수수료는 '없음'으로 되어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죠.

 

여기서 회원 신청을 해도 되지만, 그냥 '비회원 신청하기'를 누르는 게 훨씬 간편해요. 어차피 1년에 한두 번 쓸까 말까 한 거니까요. 비회원으로 해도 발급받는 데는 아무런 차이가 없어요.

 

비회원 신청을 누르면 약관 동의 화면이 나와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이랑 '고유식별정보 수집'에 동의해야 넘어가져요. 이건 필수 사항이라 어쩔 수 없더라고요.

 

동의하고 나면 이름, 주민번호, 자동입력방지 문자까지 입력하는 비회원 신청정보 입력란이 나와요. 빠짐없이 정확하게 입력하고 '다음'을 누르시면 돼요.

 

이제 본인 확인을 해야 돼요. 이게 제일 중요한 단계죠. 간편인증(카톡, 네이버 등)이나 공동/금융인증서로 인증할 수 있어요. 저는 그냥 익숙한 공동인증서로 진행했어요.

 

자녀(아이) 증명서를 떼려면 얘기가 좀 달라요. 이 화면에서 바로 안 되고,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 미리 보호자(부모)가 가입하고 아이 정보를 등록해 놔야만 여기서 조회가 돼요. 이거 은근히 모르고 헤매는 분들 많아요.

 

인증을 마치면 신청서 작성 화면이 나와요. '신청인' 정보는 자동으로 채워져 있고요, '교부 대상자'에 증명서를 발급받을 사람 정보를 입력하면 돼요. 본인 거면 '신청인과 동일'을 체크하면 되고요.

 

아이 정보를 미리 등록해 뒀다면, '교부 대상자'의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등록된 정보가 떠요. 여기서 '증명서 구분'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선택할 수 있어요. 해외 제출용이면 영문으로 뽑아야겠죠.

 

'접종 구분'도 선택할 수 있어요. 그냥 '전체'로 두면 맞은 주사를 전부 보여주고요, '국가 예방접종'이나 '기타 예방접종'만 고를 수도 있어요. 코로나(COVID-19) 접종 내역도 포함돼요.

 

특별히 골라내야 하는 게 아니라면 그냥 '전체'로 선택하고 넘어가는 게 제일 편해요. 혹시라도 빠지는 항목이 생기면 안 되니까요.

 

마지막으로 '수령방법'을 선택해야 해요.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하면 바로 프린터로 뽑을 수 있고요, '전자문서지갑'으로 받아서 스마트폰에 저장해 둘 수도 있어요.

 

저는 보통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해서 PDF로 저장해 둬요. PDF로 저장해두면 나중에 필요할 때마다 다시 로그인할 필요 없이 바로 쓸 수 있어서 편하더라고요. 다 선택했으면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끝이에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