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체중 계산기를 찾으신다면, 가장 보편적인 'BMI(체질량지수) 계산법'을 알아보시는 게 좋아요. 이건 키와 몸무게만으로 간단하게 비만도를 체크하는 방식인데요, 포털 사이트에서 바로 계산해 볼 수 있지만 성별, 나이, 근육량 등은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은 알고 계셔야 해요.

 

표준체중 계산기, 정상 체중 계산법

 

우선 포털 '다음'에서 비만도 계산기를 검색해 봤어요. 보시는 것처럼 신장(키)과 체중(몸무게), 딱 두 가지만 입력하게 되어있더라고요. 이게 바로 가장 기본적인 BMI 계산 방식이거든요.

 

별다른 정보 없이 키와 몸무게만 넣으면 바로 내 BMI 지수가 나오는 아주 간단한 방식이에요. 하지만 여기서 "어? 내 나이나 성별은?" 하는 의문이 드실 수 있죠. 맞아요, 이 기본 BMI 계산법에는 그런 요소들이 빠져있답니다.

 

다음 포털 비만도 계산기 화면

 

이번엔 '네이버'에서 똑같이 검색을 해봤어요. 여기서는 신장, 체중 외에 성별과 나이까지 입력하는 칸이 보이더라고요. "오, 여긴 좀 더 정확한가?" 하고 기대가 됐죠.

 

그래서 실제로 값을 넣어보기로 했어요. 일단 입력 항목이 더 많으니까 뭔가 다른 결과가 나올 것 같았거든요. 하지만 결과는 좀 의외였어요.

 

 

예시로 남자, 160cm, 60kg, 20세를 입력해 봤더니 BMI 지수가 23.44로 나왔어요. 이 정도면 '정상' 범위에 속하긴 하죠. '나의 BMI'와 함께 '정상'이라는 판정까지 같이 보여주네요.

 

여기서 중요한 건 '23.44'라는 숫자예요. 이제 성별과 나이를 바꿔보면서 이 숫자가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 볼 거예요. 이게 바로 BMI 계산법의 핵심을 파악하는 팁이거든요.

 

네이버 BMI 계산 결과 남성 20세

 

이번엔 다른 조건은 모두 똑같이 두고 성별만 '여자'로 바꿔봤어요. 나이도 20세로 동일하고요. 그런데 결과가 어떠신가요? BMI가 23.44로 정확히 똑같아요.

 

이거 은근히 모르시는 분들 많아요. 네이버 계산기에서 성별을 입력받긴 하지만, 정작 BMI 지수 자체는 성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거죠. 물론 성별에 따라 '정상'으로 보는 BMI *범위*는 다를 수 있지만, 지수 계산 공식($체중 \div (키 \times 키)$) 자체에는 성별이 들어가지 않아요.

 

네이버 BMI 계산 결과 여성 20세

 

혹시나 해서 나이도 20세에서 80세로 확 바꿔봤어요. 왼쪽은 남자 80세, 오른쪽은 여자 80세 결과인데요. 놀랍게도 두 경우 모두 BMI 지수는 23.44로 변함이 없어요.

 

이쯤 되면 확실해졌죠? 포털의 표준체중 계산기가 성별이나 나이를 입력받는 것은 아마도 통계나 다른 부가 정보를 위한 것일 수 있지만, 핵심 BMI 수치 계산에는 오직 키와 몸무게만 사용된다는 거예요.

 

 

결론적으로, '다음'이든 '네이버'든 160cm, 60kg을 입력하면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23.44라는 BMI 값을 보여줘요. 이것이 바로 BMI 정상 체중 계산법의 한계이기도 해요.

 

그래서 표준체중을 확인할 때 BMI는 참고만 하시는 게 좋아요.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BMI가 높게 나와도(과체중) 실제로는 건강할 수 있거든요. 반대로 근육이 없고 지방만 많으면 BMI가 정상이어도 '마른 비만'일 수 있으니, 인바디(체성분 검사) 등으로 체지방률을 함께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하답니다.

다음과 네이버 BMI 계산 결과 비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