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판매처는 종류별로 조금씩 다른데요, 지류(종이) 상품권은 신한, 농협 같은 16개 은행 창구에서 직접 사야 하고, 모바일 상품권은 '온누리페이'나 '비플페이' 같은 전용 앱에서, 충전식 카드는 16개 카드사를 통해 발급받는 방식이에요.

 

온누리상품권 판매처

 

가장 정확한 온누리상품권 판매처 정보는 '전통시장 통통'이라는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이게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직접 운영하는 곳이라 정보가 제일 빠르고 정확하더라고요. 포털에서 검색해서 바로 접속하시면 돼요.

 

메인 화면을 보시면 온누리상품권 외에도 전국 전통시장 정보나 여러 지원 정책 같은 유용한 내용이 많아요. 하지만 저희는 판매처가 궁금한 거니까, 다른 건 둘러보지 마시고 바로 상단 메뉴를 찾아보는 게 시간을 아끼는 길이겠죠?

 

전통시장 통통 메인화면

 

사이트에 들어가셨으면, 상단 메뉴바에서 '온누리상품권' 메뉴를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거기에 마우스를 올리거나 클릭하면 하위 메뉴가 쭉 나오는데, '구매 및 사용안내' 쪽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이 메뉴 안에는 구매 방법뿐만 아니라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가맹점 찾기), 또 환불은 어떻게 받는지 같은 실질적인 정보들이 다 모여있어요. 구매 전에 한번 쓱 읽어보시면 나중에 헷갈릴 일이 없겠죠?

 

온누리상품권 구매 및 사용안내 메뉴

 

'구매 및 사용안내'로 들어가면 드디어 우리가 찾던 판매처 정보가 나와요. 가장 먼저 지류 상품권(종이 상품권) 판매처가 보이네요. 신한, 우리, 국민, 농협 같은 1금융권 은행은 물론이고 부산, 대구, 경남은행 같은 지방은행까지 총 16곳에서 살 수 있어요.

 

여기서 은근히 헷갈려 하시는 게, '새마을금고'나 '신협' 같은 상호금융기관에서도 판매를 한다는 점이에요. 집이나 직장 근처에 주거래 은행이 없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편하게 구매할 수 있으니 정말 편하죠.

 

지류 온누리상품권 판매 은행 16곳

 

요즘 많이들 쓰시는 모바일 상품권은 은행에 갈 필요 없이 앱으로 바로 구매가 가능해요. 공식적으로 지정된 앱은 '온누리페이'와 '비플페이' 딱 두 가지예요.

 

다른 페이 앱들도 많지만, 온누리상품권 자체를 '구매'하는 건 이 두 앱에서만 가능하니까 헷갈리시면 안 돼요. 특히 모바일은 10%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저도 자주 이용하는 편이거든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 앱 온누리페이 비플페이

 

마지막으로 충전식 카드 상품권이 있어요. 이건 우리가 평소에 쓰는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처럼 생겼는데, 여기에 돈을 충전해서 온누리상품권처럼 쓰는 방식이에요.

 

이것도 웬만한 주요 카드사(신한, KB, 삼성, 현대 등)를 포함해서 총 16개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더라고요. 자기가 주로 쓰는 카드사 앱에 들어가서 '온누리상품권'이라고 검색해보면 신청 메뉴가 바로 나올 거예요.

 

충전식 카드 온누리상품권 발급 카드사 16곳

 

구매할 때 결제 방법을 꼭 확인하셔야 돼요. 이게 제일 중요하거든요. 개인이 지류 상품권을 살 때는 현금이나 공무원복지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해요. 저도 예전에 멋모르고 신용카드 들고 갔다가 그냥 돌아온 적이 있거든요.

 

개인 신용카드로는 절대 구매가 안 된다는 점 꼭 기억하셔야 돼요. 법인의 경우에는 현금이나 법인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다고 하니, 방문 전에 내가 어떤 카드를 쓸 수 있는지, 이 은행에서 그 카드를 받는지 미리 확인하고 가시는 게 헛걸음을 막는 팁입니다.

온누리상품권 구매 결제 수단 안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