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어디서 사는지 궁금하셨죠? 온누리상품권 판매처는 종류별로 조금씩 달라요. 종이 상품권은 신한은행이나 농협 같은 16개 은행에서 살 수 있고요, 모바일은 온누리페이나 비플페이 앱, 충전식 카드는 각 카드사를 통해서 발급받으시면 돼요.
온누리상품권 판매처
가장 정확한 온누리상품권 판매처 정보는 '전통시장 통통'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게 제일 좋아요. 여기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직접 운영하는 곳이라 정보가 제일 빠르고 정확하거든요. 포털에서 검색해서 들어가시면 돼요.
괜히 동네 은행 갔다가 허탕 칠 수도 있으니, 방문 전에 여기서 미리 확인하는 게 필수예요. 지점마다 재고가 다르거나 취급 안 하는 곳도 있더라고요. 여기서 가맹점 찾기도 할 수 있으니 즐겨찾기 해두시는 걸 추천드려요.

사이트에 들어가셨으면, 상단 메뉴에서 '온누리상품권'에 마우스를 올리시고 '구매 및 사용안내'를 누르시면 돼요. 은근히 메뉴가 많아서 헷갈릴 수 있는데, 저 위치만 기억하시면 금방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여기서 지류(종이), 모바일, 충전식 카드 세 가지 유형별로 판매처가 어딘지, 또 어떻게 쓰는지 자세하게 안내가 잘 되어 있어요. 내가 사려는 종류에 맞춰서 확인해보는 게 중요해요.

먼저 '지류 상품권' 판매처예요. 어르신들이나 선물용으로 제일 익숙한 종이 형태죠. 신한, 국민, 우리, 농협 같은 1금융권 은행은 물론이고 경남, 광주, 대구은행 같은 지방은행까지 총 16곳에서 살 수 있어요.
여기서 제일 중요한 팁! 개인 신용카드로는 절대 구매가 안 돼요. 무조건 현금이나 공무원복지카드로만 살 수 있으니, 은행 가실 때 현금 꼭 챙겨가셔야 헛걸음 안 하실 거예요.

다음은 '모바일 상품권'인데요, 이건 스마트폰 앱으로 구매하고 바로 쓰는 방식이에요. 10% 할인 구매 한도도 지류보다 넉넉해서 요즘 많이들 쓰시더라고요. 구매할 수 있는 앱은 딱 두 가지예요.
바로 '온누리페이' 앱과 '비플페이' 앱이에요. 이 외에 다른 앱들은 안 되니까 헷갈리시면 안 돼요. 앱스토어에서 둘 중 편한 앱을 설치하고 계좌 연결해서 충전(구매)하면 바로 쓸 수 있어서 정말 편해요.

마지막으로 '충전식 카드 상품권'이 있어요. 이건 내가 원래 쓰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에 온누리상품권 기능을 얹어서 쓰는 방식이라 결제할 때 제일 간편하더라고요. 신한, KB, 삼성, 현대카드 등 대부분의 주요 카드사에서 다 돼요.
이건 각 카드사 앱(App)에서 '온누리상품권'이라고 검색해서 신청하시면 돼요. 실물 카드를 배송받는 게 아니라, 앱에서 신청하고 승인되면 바로 내가 가진 카드로 시장에서 결제할 때 온누리상품권 금액이 먼저 차감되는 방식이에요.

앞서 지류 상품권에서 잠깐 말했지만, 결제 수단이 중요해서 다시 한번 정리해 드릴게요. 개인이 살 때는 '현금'이 기본이에요. 은행에서 종이 상품권 살 때는 현금 필수고요, 모바일이나 카드 충전식은 계좌이체 방식으로 충전이 돼요.
법인이라면 현금이나 법인카드로도 살 수 있지만, 개인은 신용카드로 상품권을 사는 건 불가능하다는 점! 이게 '깡'을 막기 위한 거라 어쩔 수 없더라고요. 이 점 꼭 기억하셔서 구매 계획 세우시는 게 좋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