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체중 계산기나 정상 체중 계산법을 찾으신다면 'BMI(체질량지수)'를 가장 많이 쓰게 될 거예요. BMI는 자기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데, 이걸로 비만도를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거든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바로 계산기가 나와서 편해요.

 

표준체중 계산기, 정상 체중 계산법

 

가장 쉬운 정상 체중 계산법은 역시 포털 사이트의 BMI 계산기를 이용하는 거예요. '다음'에서 검색해 보면 '비만도 계산기'라고 나오는데, 신장(키)과 체중(몸무게) 두 가지만 입력하게 되어 있더라고요.

 

사실 BMI 계산 공식 자체가 $체중(kg) \div (키(m) \times 키(m))$ 이거라서, 딱 이 두 가지 정보만 필요한 게 맞아요. 아주 간단하게 내 상태를 체크해 볼 수 있는 거죠.

 

다음 포털에서 BMI 비만도 계산기를 검색한 화면

 

'네이버'에서 검색해도 마찬가지로 BMI 비만도 계산기가 나와요. 여기는 성별, 신장, 체중, 그리고 나이까지 입력하는 칸이 있어서 좀 더 자세한가 싶었는데요.

 

하지만 실제로는 성별이나 나이는 BMI 계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더라고요. 이건 뒤에서 바로 보여드릴게요. 어쨌든 이 계산기들도 핵심은 키와 몸무게 정보예요.

 

 

테스트 삼아서 남자, 신장 160cm, 체중 60kg, 나이 20세로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눌러봤어요. 결과는 BMI 23.44로 '정상' 범위에 속한다고 나오네요.

 

BMI는 보통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에서 22.9 사이가 정상, 23부터 과체중, 25 이상부터 비만으로 보거든요. (기준은 기관마다 살짝 다를 수 있어요!) 이 경우는 아슬아슬하게 정상에 걸쳐있거나 과체중 시작점으로 볼 수 있겠네요.

 

네이버 BMI 계산기에 남자 160cm 60kg 20세를 입력한 결과

 

그럼 이번에는 다른 조건은 다 똑같이 두고 성별만 '여자'로 바꿔봤어요. 신장 160cm, 체중 60kg, 나이 20세 그대로인데, 보시는 것처럼 BMI 값은 23.44로 동일하게 나왔어요.

 

이걸 보면 네이버 계산기에서 성별을 입력받는 건, BMI 수치 자체를 계산하는 데 쓰는 게 아니라, 계산된 BMI가 '같은 성별/나이대'에서 어느 정도 위치인지 통계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라는 걸 알 수 있죠.

 

네이버 BMI 계산기에 여자 160cm 60kg 20세를 입력한 결과

 

혹시나 해서 나이를 80세로 확 바꿔서 테스트해봤어요. 남자 80세, 여자 80세 둘 다 160cm, 60kg 조건으로 돌려봤죠.

 

결과는 어땠을까요? 역시나 BMI는 23.44로 똑같았어요. 이걸로 확실해졌죠. 성별이든 나이든 BMI 수치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걸요.

 

 

결국 '다음'이든 '네이버'든, BMI 계산법은 오직 키와 몸무게만 사용한다는 게 결론이에요. 성별이나 나이는 부가적인 통계 정보일 뿐이고요. 표준체중 계산기라는 게 사실은 이 BMI 지수를 알려주는 거더라고요.

 

다만, 이거 은근히 모르시는 분들 많은데, BMI는 근육량이나 체지방률을 전혀 반영하지 못해요. 그래서 헬스 많이 한 분들은 근육 무게 때문에 BMI가 '비만'으로 나올 수도 있거든요.

 

그러니까 BMI는 그냥 "내가 대충 어느 정도 범위에 있구나" 하는 참고용으로만 보시는 게 좋아요. 정확한 건 인바디 같은 체성분 검사를 해보셔야 돼요.

다음 비만도 계산기 결과 요약

+ Recent posts